책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를 읽다. 자동화와 지능화가 출현시킨 핵개인의 시대를 읽다. 주위에서 MZ세대 얘기들을 종종 듣는다. 베이버 부머세대, 386, 486세대, X세대, 밀레니얼 세대 등 그동안 여러 기존의 사고방식을 뛰어넘는 세대들이 등장하였다. 그 세대들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적응하는 여러 상황들이 있어왔다. MZ세대가 특이한 세대가 아니라 시대가 변한 것이라고 저자 송길영님은 말한다. 저자의 말처럼 장마철 날씨예보를 듣지도 않고 나갔다가 낭패가 없도록 현 시대의 진단을 바탕으로 한 시대예보로 지금 그리고 미래의 삶에서 방향을 잃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책의 제목에서 느꼈다. 장별 제목과 소제목의 분류는 간결하면서도 핵심을 이야기하려는 기대를 갖게 한다. 채용에서 인재영입으로, 임직원이 아닌 구성원. 기존의 기업문화에서 이제 회사.. 더보기 천명관의 <고래>를 읽다. 고래와 개망초 금계국이 지고 나는 자리에 개망초들이 차지하고 있다. 안개꽃 무리같은 꽃들이 개울가에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무심하게 보곤 하던 개망초들을 이제는 다른 감정으로 보게 된다. 천명관의 소설 를 읽고 나서부터 개망초를 보면 춘희가 생각난다. 오감을 통한 놀라운 감수성을 가진 그러나 큰 체격과 두드러지는 외모로 이목을 집중시키는 그녀. 갖은 고통을 겪고 돌아온 어린시절의 장소에서 사람들이 떠난 그 곳에 보초병들이 줄 서듯 만개해 있던 개망초들이 연상된다. 제목이 고래가 아니라 개망초였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고래는 춘희의 생물학적 엄마(우리에게 익숙한 모성애는 전혀 느껴지지 않고) 금복이 고향 산골마을을 떠나 처음으로 목격한 광경에서 지울 수 없는 인상을 남긴 상징이다. 추한 외모의 노파와 애꾼.. 더보기 기타부기셔플을 읽다. 서울의 미국안에서 벌어지는 청춘들의 낭만예술분투기 타임머신을 타고 격동의 그 시절로 돌아가서 본 듯 생생함이 퍼덕인다. 1960년대의 소설이란 으레 전후 정치, 사회의 혼란속에 민주화, 경제발전의 염원의 상승기운에 청춘의 이야기도 건전하고 진지하기 마련이라고 여긴다. 이 소설은 당시 상황에서 잠시 떨어진 듯 전혀 다른 이야기가 전개된다. 사회가 어떠하든 청춘의 고민과 예술의 열정은 시대를 뛰어넘는 공감을 갖는다. 2022년의 나를 지금의 대중문화가 태동하는 현장 1960년대 미8군기지내로 소환한다. 어렸을 때 패티킴, 윤항기, 윤복희 등 대단한 가수들의 TV토크쇼 인터뷰를 보다보면 미8군 공연에 대한 이야기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었다. 나는 그런 대형가수들이 왜 TV가수들이 미8군에서 공연했는지 의아했고.. 더보기 다이앤 애커먼의 <휴먼 에이지>를 읽다. "그동안 우리는, 비록 의도한 일은 아니었지만 지구적 혼란을 초래해 스스로의 안녕을 위협해왔다 ~ 우리가 많은 문제와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나는 대단히 낙관적이다 ~ 우리의 실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우리의 재능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25쪽) 이론이 아닌 발로.. 더보기 유쾌하게 삶의 모든 순간을 즐기자!!! "인생은 두려움으로 대하거나 방어적으로 다루면 아주 위험해질 수 있다. 마이클 조던은 자신이 부상을 잘 입지 않는 이유는, 절대도 속도를 줄여서 경기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고백했었다. 인생은 전속력으로 부딪치는 사람에게만 아름다운 보상을 해준다. 전속력으로 부딪치며 사는 .. 더보기 시민과학모임 '핵을 넘다' 간단후기 미세먼지와 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황사로 맑은 하늘 보기 어려운 요즘. 다행히 날씨는 정말 좋았다. 깨끗한 공기와 화사한 햇살. 거리의 사람들도 봄의 향기로 밝은 모습들이었다. 분명 날씨는 당연하지만 우리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기껏해야 백년 전세로 지구에 살고 .. 더보기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나와 세계>를 읽고서, 2005,6년 부동산 열풍이 또 다시 불고 있었다. 나도 내집마련의 꿈을 넘어 부동산 재테크에 뛰어들겠다고 관련책만 10여권을 찾아 읽으며 지리적 탐색도 시작하였다. 또한 펀드 열풍으로 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신흥시장에 투자) 펀드, 원자재 펀드 등 다양한 펀드에 많지 않은 금.. 더보기 러셀의 수필 <무용한 지식>을 원서로 읽으며 느끼게 되는 생각들.. 수콩반에서 버트란트 러셀의 ‘USELESS’ KNOWLEDEG를 읽으며, - 나의 유.무용의 독서를 돌아보다. 독서행위에 즐거움을 느끼는 나에게 주위 친구들은 부러움의 시선을 보낸다. 가장 많은 반응은 “나도 여유가 있다면 읽고 싶은 책들이 많다. 좋겠다. 그런 여유가 있어서." 나도 이런 여유에 ..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